Department
of
Advanced Materials Engineering
학과소개
4차 산업혁명의 핵심인 첨단소재 관련 분야 기술과 제품의 혁신을 이끌어 국가 경제 성장을 주도하는 학문으로 에너지, 환경 반도체 통신 센서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정밀화학, 우주 항공, 생체재료 복합재료 등에 이르는 최첨단 산업 분야에 필수 불가결한 첨단소재의 구조 합성 공정 및 물성 평가 뿐만 아니라 계산과학 빅데이터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 기반 첨단소재 개발을 교육하여 소재·부품·장비 산업분야에서 중추적 역할을 할 인재를 양성한다.
특히 기술개발의 밑바탕인 기초 소재 교육과 더불어 기업 현장에서 적용이 가능한 실무능력을아우르는 현장맞춤형 교육을 통해 첨단소재산업을 이끌어 갈 인재를 양성한다.
교육목표
인류 최대 관건인 에너지문제 해결을 위한 소재 기반의 공학적 문제점들을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 첨단소재 전문 인재양성을 목표하며, 특히, 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압전, 열전소재 및 수전해소재 개발을 통한 에너지 자원문제 해결 및 지속 가능한 신재생 에너지 생산 연구를 통한 전문 인재양성을 목표로 한다.
원자나 분자의 조작을 통한 새로운 극미세(10억분의 1m)분야에서의 새로운 첨단소재를 창출할 수 있는 나노기술의 교육과 기존의 일반 물리학의 범주를 넘어선 퀀텀의 영역에서 새로운 전기적, 광학적 물성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새로운 소재나 시스템에 적용 및 이를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공학적 인재 양성을 목표로 한다.
세부전공소개
- 첨단소재 (Advanced Materials)
- 디스플레이 소재 및 부품 전공 (Display, Materials and Components)
졸업생 진로
- 대학 및 연구기관의 교수·연구원
- 에너지 소재(이차전지,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 분야 연구·개발 전문가
- 반도체·디스플레이 및 정보소재 산업 분야 전문 연구원
- 나노소재·첨단신소재 제조기업 및 연구소 연구개발 전문가
- 바이오·의료 소재(인공장기, 임플란트, 약물전달체 등) 분야 연구원
- 정부출연연구원 및 공공기관(산업·과학기술 정책·기술 지원)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