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 경제학 석사 및 박사 과정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강소형 경제학 대학원 프로그램이다. 교수진은 이론경제학과 실증경제학을 포괄하는 다양한 경제학 분야의 최첨단 연구자들로 구성되었다. 특히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책평가 및 경제예측 분야에 특화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경제이론 및 계량분석 방법을 심화 학습하고 현실 자료를 실증분석하는 교육을 통해 경제학 학문 분야의 발전을 이끌고 현실경제와 공공정책의 분석과 평가를 주도할 경제학자를 양성한다.
교육목표 달성방안
경제학 핵심 이론과 계량분석 방법에 대한 심화학습
세미나 및 학술대회 등을 통한 활발한 대외교류
개인연구를 발표할 수 있는 다양한 기회를 제공하여 연구 역량 강화
프로그래밍 능력 개발과 국제화 역량 강화를 위한 폭넓은 특강 프로그램 제공
각계 전문가와 선배들을 활용한 네트워킹 및 멘토링
해외 우수 인재 유치 및 교육과정의 국제화
세부전공소개
경제분석: 경제이론 연구와 이를 활용한 경제 현상 실증분석
정책분석: 정부 및 기업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에 대해 연구
응용경제: 경제이론과 실증분석 방법을 현실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 방법과 사례 연구
석사/학석사 연계
중앙대학교 경제학부 석사과정 및 학석사 연계과정 졸업생들은 해외의 경제학 박사과정에 진학하거나 정부출연연구원, 민간연구원, 전문단체, 공기업 등에 전문연구원으로 취업하고 있다. 최근 졸업생들의 진로는 다음과 같다.
석사/학석사 연계제목, 조회수, 작성일 안내하는 표
박사과정 진학
University of California, Riverside
University of Utah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lbany
University of Arizona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American University
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한국조세재정연구원(KIPF)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산업연구원(KIET)
한국보건사회연구원(KIHASA)
국회예산정책처(NABO)
한국노동연구원(KLI)
국회미래연구원
서울연구원
경기연구원
한국금융연구원(KIF)
기업, 기괸, 단체
한국은행
한국전력공사
한국경영자총협회
박사/석박사 통합
중앙대학교 박사과정 및 석박사통합과정을 마치고 경제학 박사학위를 취득한 졸업생들은 해외 대학 또는 국내 연구기관에서 활발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최근 졸업생들의 진로는 다음과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