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학과소개
토목공학
구조, 지반, 하천 및 해안, 환경, 건설사업관리, 교통 등 세 부 전공분야에 대하여 폭 넓고 구체적인 전공과목을 이수함으로써 창의성 있는 활동과 건설산업 및 연구원의 인력으로 서 총괄적으로 전문분야 지식을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도시공학
도시공학 전공은 공학적 접근과 인문사회․예술적 방법론 접목하여 도시화에 따른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낙후된 도시를 재생한다. 현재 도시의 문제와 미래 도시의 경쟁력 향상 및 삶의 질 개선을 위해 도시설계 및 계획적 해법뿐 아니라, 인구, 토지이용, 교통, 환경, 주택, 재생, 해외도시개발, 빅데이터 분석 등 제반 이론을 탐구한다.
교육목표
토목공학
- 다양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한 유기적이고 종합적인 연계 능력 고취
- 실용적 교육방법을 통한 현장밀착형 실무적응 능력 개발
- 융합화 시대를 유연하게 리드할 수 있는 창의적 공학인 양성
도시공학
- 도시계획, 설계, 교통 등 다양한 전공지식을 바탕으로 도시 문제를 과학적·공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종합적 능력 배양
-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현장 중심 교육을 통해 실무 적응력과 전문성 강화
- 지속가능한 도시발전과 더불어, 도시재생, 스마트시티 등 미래 융합 분야를 선도할 도시공학인 양성
세부전공소개
토목공학
- 구조공학 (Structural Engineering)
- 지반공학 (Geotechnical Engineering)
- 건설사업관리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 환경공학 (Environmental Engineering)
- 수자원 및 해안공학 (Water Resources and Coastal Engineering)
- 교통공학 (Transportation Engineering)
졸업생 진로
토목공학
- 민간 분야의 경우 설계회사 또는 대형 건설회사에 진출하여 교량, 댐, 원자력발 전소, 환경/에너지 시설물 및 각종 플랜트시설 등의 계획 및 설계, 시공 및 시 설 유지관리 엔지니어로 활동
- 국토부, 환경부, 기재부 등 정부기관의 건설정책 및 기술제도 전문가로 대형 국책사업의 기획, 설계 조달, 사업관리, 유지관리 등을 전담
- 지자체의 기반시설관련정책 및 제도수립, 건설 및 유지관리 업무와 환경 분야의 계획 및 관리 담당자로 역할 수행
- 최근에는 건설관련 언론, 금융, 특허, 법률 분야에도 진출하여 관련 연구소에서 연구활동 및 교육분야에도 기여
도시공학
- 민간 분야에서는 대형 건설사, 엔지니어링 회사, 도시설계사무소에 진출하여 도시계획, 도시설계, 도시개발 및 정비, 도시재생 등 도시계획 및 설계 전문가로 활동
- 국토교통부, 지자체 등 중앙 및 행정기관 또는 LH·SH 등의 공공기관에서 국토 및 지역계획, 도시계획, 주택, 도시설계 등 계획 수립 및 관련 정책 수립
-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서울연구원, 시정연구원 등 정부 및 지자체 출연연구기관에서 도시 관련 정책 연구, 기술 개발 및 컨설팅을 수행하며 학계와 연구분야 발전에 기여
- 최근에는 금융, 부동산, 공간분석, Data Science, Urban Analytics 영역으로 진출 분야를 확장해 가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