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Pharmaceutical Biohealth Industry
학과소개
본 학과는 제약·바이오·헬스 산업이 급속히 성장하고 인공지능 기반 산업구도의 변화와 융합되는 글로벌 환경 속에서, 산업 전반의 혁신과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자 한다. 약학, 의학, 보건학, 경영학, 법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를 융합하고, 인공지능 등과 연계한 첨단산업의 최전선에서 제약, 의약품 및 바이오헬스 분야의 R&D 관리, 인허가 및 규제과학, 글로벌 마케팅, 기술경영, 데이터 기반 헬스케어 전략 등 전문 교육을 제공한다. 본 학과는 2014년 9월 석사학위과정으로 설립되었으며, 2025년부터 제약바이오헬스산업학과로 명칭을 변경하여 미래 지향적인 교육과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교육목표
대학원 제약바이오헬스산업학과는 중앙대학교 창학이념인 ‘의와 참의 정신’을 바탕으로 첨단분야의 제약·바이오·헬스 산업 전반의 학문과 실무를 융합하여 창의적이고 국제경쟁력을 갖춘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것을 교육목적으로 한다. 특히 인공지능 기반 신약개발 및 빅데이터 등 첨단분야의 혁신적인 도구들과 마인드맵 기반 교육도입을 통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교육목표를 둔다.
- 가첨단분야의 혁신기술과 전문분야의 제약·바이오·헬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적 교육체계를 구축한다.
- 나다학제간 융합을 통한 시너지 창출을 위한 약학, 의학, 보건학, 경영학, 법학 등 교내외의 우수 자원을 활용하여 통섭적인 지식을 교육하여, 융·복합적 전문성을 갖춘 핵심 인재를 양성한다.
- 다국가 보건의료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며, 미래 글로벌 바이오헬스 산업을 선도할 전문가를 양성한다.
세부전공소개
- 제약 바이오헬스 산업학과
- 빅데이터 & AI
- In-silico 탐색 (AI Machine Learning)
- 빅데이터 분석론 (Big Data Multivariate Analysis)
- 유전체 빅데이터 기반 AI 신약 연구방법론
- 인공지능 (AI) 기반 ADMET 독성예측
- 인공지능 (AI) 기반 바이오인포매틱스
- 연구방법 & 윤리
- AI 기반 혁신신약 개발
- 바이오헬스 신약개발연구방법론 세미나
- 디지털바이오 의약품 개발론
- 차세대 신약개발론
- 희귀난치질환 치료제학론
- 바이오 의약품 & 첨단 치료제
- 바이오헬스 치료제 특론
- 바이오헬스 디지털헬스케어 비즈니스전략
- 첨단바이오의약품 인허가제도
가. 의약품 인허가(Drug Approval System)
- 전임상, 임상 및 GXP, 품질관리, 시판 후 관리 등 의약품 인허가 관련 규제과학(regulatory science)
- (첨단)바이오의약품, 디지털치료제 등 관련 첨단신약 및 신약개발과정 및 첨단의료제품 및 인공지능 의료기기 등 관련 인허가
- 첨단의료제품의 리터러시 재고와 인허가를 위한 규제적 접근시 다양한 인공지능 및 AI, 디지털 분석 기술이 적용
나. 글로벌 마케팅(Pharmaceutical Global Marketing)
- 의약품 해외 진출을 위한 시장분석, 제품기획, 가격, 유통, 판매촉진, 기술 제휴 등 글로벌 사업화 전략 및 글로벌 마케팅 계획 분야
- 글로벌 마케팅 과정 중 첨단의료제품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 및 첨단기술의 적용
다. 의약품 경제성 평가(Pharmaceutical Outcomes Research)
- 혁신의약품, 첨단바이오의약품, 디지털치료제, 기존의 의약품 등 의료보험 등재에 필요한 전문 지식, 의약품 위해 관리, 비용 효과/효용 분석, 재정영향 분석, 약가 가격결정 등을 위해 필요한 제약산업 분야에서의 의약품 경제성 평가
라. 제약 기술 경영(Pharmaceutical Innovation Management)
- 최신첨단신약 R&D 전략기획, 프로젝트 관리, 신약기술 라이센싱, 기술가치 평가 등 제약기업의 기술전략, 기술기획, 기술 사업화 등 제약
- 기술 경영 전반에 걸친 분야
- 인공지능을 적용한 기술경영분야에서 다양한 첨단분야 기술의 적용과 적용 대상에 대한 평가
졸업생 진로
- 제약·바이오·헬스산업 첨단분야 연구개발, 인허가(RA), 글로벌마케팅, 데이터기반 전략 전문가
- 국내외 제약 및 바이오 관련 정부 부처·규제기관·공공기관의 정책 및 심사 전문가
- 보건의료 및 보험 분야의 의약품 경제성 평가, 약가 및 보건정책 연구 전문가
- 대학·연구소·산학연 협력기관의 교수·연구원
- 제약 기술경영, 기술가치 평가, 라이센싱 및 컨설팅 등 산업 혁신 및 사업화 전문가
- 상기 각 분야의 첨단분야 제품개발 및 규제구현, 인공지능 기반 관련 분야 전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