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Northeast Asian Studies
학과소개
본 학과는 날로 증가하는 동북아 전문 인력에 대한 사회적 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하여 중국·유라시아·한반도 등을 아우르는 동북아의 문화와 지역에 대한 학문적 연구와 학제간의 긴밀한 연구 협력을 통한 전문 인력 양성을 목표로 2015년 기존 중국지역학과, 러시아문화학과, 북한개발협력학과를 통합하여 동북아학과로 개편하였다.
교육목표
본 학과는 중국어문학・중국문화산업・중국정치경제・러시아문화・북한개발협력으로 그 전공이 세분되는데 일차적으로는 전공 분야별 독립적이고 심도 있는 학문 연구를 진행하며 동시에 동북아라는 큰 시각으로 이들 전공을 연계하여 유기적인 관계 속에서 동북아학을 종합적인 학문으로 정립해 나감으로써 이 분야의 학문적 위상을 환기하고 동북아를 무대로 활동할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국제적 전문 인력의 배양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부전공소개
- 중국어문학전공(Chinese Language & Literature)
- 중국문화산업전공(Chinese Cultural Industry)
- 중국정치경제전공(Chinese Political & Economy)
- 러시아문화전공(Russian Culture)
- 북한개발협력전공(Development and Cooperation for North Korea)
졸업생 진로
동북아학과는 중국·유라시아·한반도 등 동북아 지역을 아우르는 문화, 정치, 경제, 사회를 종합적으로 연구하며, 국제 무대에서 활약할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습니다. 본 학과 졸업생들은 학문적 기반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분야로 진출하고 있습니다.
- 학계 및 연구 분야
- 대학원 진학 후 연구자로 성장하여 국내외 대학, 연구기관에서 교수 및 연구원으로 활동
- 동북아 지역학, 국제정치, 경제, 문화 연구 등 전문 학술 분야 진출
- 공공기관 및 정부 부처
- 외교부, 통일부, 문화체육관광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 국책연구기관(세종연구소,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한국국제교류재단 등)에서 정책 연구 및 자문 활동
- 국제기구 및 비정부기구(NGO)
- UN 및 국제개발협력기구, 국제 NGO 등에서 동북아 및 국제 개발·협력 분야 활동
- 북한 개발협력, 국제협상, 지역 안보 및 평화 구축 관련 업무 수행
- 기업 및 산업 분야
- 글로벌 기업의 해외사업부, 무역·투자·금융 관련 기업
- 중국·러시아·북한 관련 문화·콘텐츠·관광 산업 및 언론·미디어 분야
- 동북아 시장을 기반으로 한 컨설팅, 전략기획, 국제경영 부문
- 기타 진로
- 외국어 능력과 지역 전문성을 활용하여 번역·통역 전문가로 활동
- 공공외교, 국제교류, 남북 교류 협력 등 다문화·국제사회 기반 활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