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partment
of
Media & Communication
학과소개
본 학과는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이론과 방법을 바탕으로 미디어 기술, 콘텐츠, 이용자, 제도/정책 전반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며, 개인, 집단, 조직, 사회 등 다양한 층위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종합적으로 연구합니다.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플랫폼, 알고리즘, AI)이 가져오는 사회 변화를 학문적으로 해석하고 실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연구자와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합니다.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은 비판적 사고와 데이터 해석 능력, 현장 문제 해결 역량을 균형 있게 기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이를 통해 미디어커뮤니케이션 분야의 이론 발전과 사회적 가치 창출에 기여하는 최고 수준의 대학원 교육 과정을 제공합니다.
아울러, 본 학과는 현업 전문가의 재교육과 실무 역량 고도화를 위한 특수대학원(커뮤니케이션대학원)을 함께 운영하고 있습니다. 커뮤니케이션 수단의 디지털화와 소통 방식의 다변화 속에서 산업 전반의 문화·지식상품 비중이 커지는 현실을 반영해, 특수대학원은 이론과 실제를 아우르는 교육으로 언론문화 발전에 기여할 전문 인력을 체계적으로 양성합니다. 전공은 차세대 콘텐츠·방송영상 융합전공과 미디어전략·데이터커뮤니케이션전공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특수대학원 홈페이지(https://shinbang.cau.ac.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교육목표
- 이론 및 방법 역량: 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정량, 정성, 실험, 네트워크 등 고급 방법론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고, 사회·조직·플랫폼 현안을 과학적으로 분석해 해결 대안을 제시한다.
- 정책 및 전략 설계: 저널리즘, 플랫폼 거버넌스, 미디어 규범과 정책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공공 커뮤니케이션과 미디어 윤리 관점에서 실행 가능한 정책 및 전략을 기획한다.
- 데이터·AI 전문성: 데이터과학과 정보 테크놀로지(AI, 머신러닝, 컴퓨테이셔널 방법)를 활용한 지식 생산 역량을 강화해, 고부가가치 콘텐츠와 서비스 혁신을 이끌 전문가를 양성한다.
- 산업 연계 역량: 뉴스, OTT, 광고, PR, 디지털 마케팅 등 미디어 산업 전반과의 산학협력 및 인턴십을 통해 실무 적합성과 리더십을 갖춘 고급 연구 인력을 양성한다.
- 사회 변화 대응: 세대, 문화, 노동, 기술 변화에 따른 커뮤니케이션 과제를 발굴하고, 미디어 리터러시 증진과 포용적 소통 문화를 확산하는 사회공헌 역량을 강화한다.
- 융합 및 글로벌 역량: 사회학, 심리학, 법, 정책, 경영 등 인접 학문과의 융복합을 지향하며, 현직자 재교육을 통해 세계 수준의 연구 경쟁력과 실천 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한다.
세부전공소개
미디어커뮤니케이션 (Media & Communication)
졸업생 진로
- 대학 및 연구기관의 교수·연구원
- 언론 분야 전문가(기자, 아나운서, 데이터저널리스트 등)
- OTT, 플랫폼, 제작사, MCN 등 미디어 콘텐츠 분야 전문가(콘텐츠 기획/제작, 프로듀서,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데이터/시청자 분석 등)
-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콘텐츠진흥원 등 공공기관의 정책, 행정, 공공커뮤니케이션 전문가
- 커뮤니케이션 교육 및 컨설팅 분야 전문가